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시간의화살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시간의화살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시간의화살

행복하세요

대용량 파일 업로드 처리 (30GB)

  • 2023.12.03 13:05
  • Solutions

 

 

 

FastAPI에서 대용량 파일 업로드 기능을 구현해보자. 

프론트엔드에서 백엔드로 요청을 보낼 때는 axios를 사용하고, FastAPI의 웹서버 구현체로는 uvicorn을 사용한다. 

 

 

 

1. 타임아웃 설정 

용량이 크다 보니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uvicorn과 axios 부분을 조작해 타임아웃 기간을 늘리자.

 

uvicorn app:app --timeout-keep-alive 1200

 

 

우선 uvicorn에서는 --timeout-keep-alive 속성값으로 uvicorn 서버가 클라이언트와의 비활성 HTTP 연결을 얼마나 오래 유지할 지 설정할 수 있다.

 

예시는 1200초동안 연결이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설정한다.

 

upload_axios_timeout: 1200000

const api = axios.create({
  baseURL: api_url,
  timeout: settings.upload_axios_timeout,
  withCredentials: true,
 })

 

 

axios에서는 timeout 옵션으로 요청이 얼마나 오랫동안 대기할 수 있는지 설정할 수 있다.

서버 측 요청 처리에 걸리는 시간과 클라이언트 측 요청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일치시켜 네트워크 리소스 낭비를 줄이자.

 

 

 

2. 스트리밍 방식 사용

 

    # 기존 방식 
    with open(file_path, 'wb') as buffer:
        buffer.write(upload_file.file.read())
        
    # 스트리밍 방식 
    with open(file_path, 'wb') as buffer:
        while True:
            chunk = upload_file.file.read(1000000)  # 1MB씩
            if not chunk:
                break
            buffer.write(chunk)

 

 

기존 방식에서는 전체 파일 내용을 한 번에 메모리로 읽어들이고 파일 시스템에 한 번에 쓰고 있다.

대용량 파일인 경우 시스템의 메모리 리소스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스트리밍 방식에서는 파일을 chunk 단위로 나누고 순차적으로 읽은 후 파일 시스템에 쓰는 방식을 사용한다.

큰 파일도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처리하는 분할정복 기법을 사용해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Solu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ecurity] 인증 실패 오류 다루기  (0) 2024.06.20
[SQL Server] 지원하지 않는 TLS 버전 설정  (1) 2024.06.05
[JavaScript] Shadow DOM 다루기  (0) 2023.11.22
[Vue] map 함수와 Vue3의 반응형 시스템  (0) 2023.11.16
[Git] Git 협업 시 충돌 해결  (1) 2023.11.14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Spring Security] 인증 실패 오류 다루기

    [Spring Security] 인증 실패 오류 다루기

    2024.06.20
  • [SQL Server] 지원하지 않는 TLS 버전 설정

    [SQL Server] 지원하지 않는 TLS 버전 설정

    2024.06.05
  • [JavaScript] Shadow DOM 다루기

    [JavaScript] Shadow DOM 다루기

    2023.11.22
  • [Vue] map 함수와 Vue3의 반응형 시스템

    [Vue] map 함수와 Vue3의 반응형 시스템

    2023.11.16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시간의화살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시간의화살

  • 시간의화살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609) N
    • Algorithm (205)
      • Data Structure (5)
      • Theory && Tip (33)
      • Baekjoon (166)
      • ALGOSPOT (1)
    • Spring (123)
      • Spring (28)
      • Spring Web MVC (20)
      • Spring Database (14)
      • Spring Boot (6)
      • Spring 3.1 (11)
      • Spring Batch (6)
      • Spring Security (16)
      • JPA (12)
      • Spring Data JPA (5)
      • QueryDSL (4)
      • eGovFramework (1)
    • Programming Language (74)
      • Java (19)
      • JavaScript (15)
      • C (25)
      • C++ (12)
      • Python (1)
      • PHP (2)
    • Computer Science (69)
      • Operating System (18)
      • Computer Network (17)
      • System Programming (22)
      • Universial Programming Lang.. (8)
      • Computer Architecture (4)
    • Database (21)
      • Database (7)
      • MySQL (3)
      • Oracle (3)
      • Redis (5)
      • Elasticsearch (3)
    • DevOps (20)
      • Docker && Kubernetes (8)
      • Jenkins (4)
      • Github Actions (0)
      • Amazon Web Service (8)
    • Machine Learning (28)
      • AI Introduction (28)
    • Mobile (28)
      • Android (21)
      • Flutter (7)
    • Solutions (14)
    • Life Logs (2) N
    • 낙서장 (25)

최근 글

나의 외부 링크

메뉴

  • 홈

정보

13months의 시간의화살

시간의화살

13months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13months.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