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시간의화살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시간의화살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시간의화살

행복하세요

[Data Communication] Point to Point Protocol / 3G

  • 2025.06.17 01:05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PPP는 2계층에서 동작하는 직접 연결용 프로토콜으로 말 그대로 두 지점 사이를 연결한다. 

Ethernet은 여러 장치가 공유하는 브로드캐스트 기반 LAN이고, PPP는 1:1 직렬 연결을 수행한다. 

 

PPP는 MAC 주소가 필요 없고, Ethernet은 전송만 하지만 PPP는 전송, 인증, 압축, 암호화 등을 모두 수행한다. 

 

Ethernet은 LAN 내부에서 쓰이고, 공유기가 WAN과 연결해서 ISP와 연결되는 경계선 역할을 수행한다면 

PPP는 컴퓨터 하나가 직접 ISP 장비와 연결한다.

Ethernet도 없고 MAC 주소도 없고 DHCP도 안 되는 환경에서 IP를 사용해 1:1 연결을 처리할 수 있다.

 

1:1 직렬 연결이 필요한 경우가 많이 없고, Ethernet MAC DHCP 기술 등 다양한 대안이 있다.

요즘은 PPP 대신 Ethernet, Wi-Fi를 많이 사용하는데.. 여러 기술의 내부 동작에서는 PPP를 여전히 사용한다.

PPPoE는 Ethernet 위에 PPP를 얹은 기술으로, 컴퓨터가 직접 PPP를 사용하지 않고 공유기가 대신해서 사용한다. 

즉, 공유기가 ISP와 PPP 연결을 맺고 내부에서는 Ethernet + DHCP로 뿌려주니 일반 사용자는 PPP를 추상화해서 사용한다.

 

 

 

 

컴퓨터 - 라우터간 직접 연결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Link Control Protocol / Network Control Protocol은 PPP sㅐ부에서 사용되는 하위 제어 프로토콜이다.

 

LCP - 링크 자체의 설정/유지/해제를 담당한다.

NCP - IP에 대한 협상을 수행하고 어떤 프로토콜을 쓸 지를 결정한다.

 

 

 

 

 

 

 

 

2G 네트워크는 Global System for Mobile 을 사용하고, 음성 통화/문자에 집중했다. (GSM RAN - 무선망 / GSM Core - 음성 교환망)

이제 3G로 넘어오면서 음성/데이터/IP 중심 구조로 전환된다. (UTRAN- 무선망 / GPRS Core - 데이터 코어망)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 기지국 +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UTRAN은 3G 무선 접속망으로 Node B는 기지국이고, RNC는 여러 Node B를 제어한다.

 

GPRS Core는 3G 데이터 코어망으로 3G부터 중요해진 데이터통신을 커버하기 위해 별도의 코어망을 사용한다. 

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 사용자의 위치 추적, 인증, 세션 유지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 NAT, IP 부여, DNS 포트포워딩 수행 

 

최종 목적지는 인터넷으로, GGSN이 인터넷 트래픽을 전달한다. 

 

사실 인터넷을 어떻게 연결하는가? 의 관점에서 보면 Ethernet, Wi-Fi, 3G, LTE, PPP 모두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다른 방법으로 이해하자. 

 

3G 네트워크는 셀룰러 무선망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Ethernet과 Wi-Fi는 공유기와 통신하고 3G는 기지국과 통신한다. 

핸드폰도 결국 인터넷에 연결되는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때 3G같은 셀룰러 통신망을 사용한다. 

 

3G는 이동통신(셀룰러) 전용 네트워크. 통신사가 제공함

Ethernet/Wi-Fi는 고정망(유선 기반) 네트워크. 공유기가 제공함 (공유기 뒤에는 통신사 회선이 연결됨)

 

통신사 인프라를 사용하는 기지국 기반인지, 공유기를 사용하는 내부 네트워크 기반인지 차이라고 생각하자. 

 

 

 

 

 

Application 계층은 브라우저, 유튜브 등 사용자 앱을 다룰 때 사용된다.

IP / PPP 는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되고 PPP는 3G 망에서 IP 세션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https://d2.naver.com/helloworld/111111)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Computer Science > Computer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Communication] Media Access Control과 Ethernet  (4) 2025.06.12
[Data Communication] 에러 제어와 ARQ  (0) 2025.06.11
[Data Communication] 공유기와 네트워크  (0) 2025.06.02
[Data Communication] 물리 계층에서의 다중화  (0) 2025.04.16
[Data Communication] 물리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  (0) 2025.04.02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Data Communication] Media Access Control과 Ethernet

    [Data Communication] Media Access Control과 Ethernet

    2025.06.12
  • [Data Communication] 에러 제어와 ARQ

    [Data Communication] 에러 제어와 ARQ

    2025.06.11
  • [Data Communication] 공유기와 네트워크

    [Data Communication] 공유기와 네트워크

    2025.06.02
  • [Data Communication] 물리 계층에서의 다중화

    [Data Communication] 물리 계층에서의 다중화

    2025.04.16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시간의화살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시간의화살

  • 시간의화살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609)
    • Algorithm (205)
      • Data Structure (5)
      • Theory && Tip (33)
      • Baekjoon (166)
      • ALGOSPOT (1)
    • Spring (123)
      • Spring (28)
      • Spring Web MVC (20)
      • Spring Database (14)
      • Spring Boot (6)
      • Spring 3.1 (11)
      • Spring Batch (6)
      • Spring Security (16)
      • JPA (12)
      • Spring Data JPA (5)
      • QueryDSL (4)
      • eGovFramework (1)
    • Programming Language (74)
      • Java (19)
      • JavaScript (15)
      • C (25)
      • C++ (12)
      • Python (1)
      • PHP (2)
    • Computer Science (69)
      • Operating System (18)
      • Computer Network (17)
      • System Programming (22)
      • Universial Programming Lang.. (8)
      • Computer Architecture (4)
    • Database (21)
      • Database (7)
      • MySQL (3)
      • Oracle (3)
      • Redis (5)
      • Elasticsearch (3)
    • DevOps (20)
      • Docker && Kubernetes (8)
      • Jenkins (4)
      • Github Actions (0)
      • Amazon Web Service (8)
    • Machine Learning (28)
      • AI Introduction (28)
    • Mobile (28)
      • Android (21)
      • Flutter (7)
    • Solutions (14)
    • Life Logs (2)
    • 낙서장 (25)

최근 글

나의 외부 링크

메뉴

  • 홈

정보

13months의 시간의화살

시간의화살

13months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13months.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