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천히 꾸준히 조용히
Recent Posts
-
[Computer Network] Transport Layer
[Computer Network] Transport Layer
2025.10.15다시 한 번 말하지만 전송계층은 두 프로세스간 소켓을 연결한다. TCP는 이 계층에서 Reliability, 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Connection Management를 수행한다.UDP는 데이터만 빠르게 전송할 뿐 TCP 처럼 연결 설정, 재전송 등은 수행하지 않는다. 프로세스는 소켓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지 네트워크와 직접 통신하지는 않는다. TCP 소켓은 연결형, UDP 소켓은 비연결형이고. Multiplexing호스트 하나에는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한다.애플리케이션들은 걔내만의 소켓을 가지고 전송계층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전송계층은 소켓에서 온 데이터에 포트번호 등 적절한 식별자를 붙여서 구분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네트워크로 보낸다. 즉, 여.. -
[Computer Network] Transport Layer Security
[Computer Network] Transport Layer Security
2025.10.14HTTPS는 HTTP + TLS + TCP로 구성된다. TLS 는 전송계층 보안 프로토콜으로 TCP 위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무결성을 검증한다.TCP는 소켓을 잇는 통로. TLS는 통로를 안전하게 보장. HTTP는 실제 내용물. HTTP랑 TLS를 같이 쓸 때 HTTPS가 되는거지 전송 계층을 사용하는 모든 서비스에 TLS를 적용할 수 있다.SMTP IMAP 등등.. 이메일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도 TLS를 붙일 수 있음. Confidentiality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제3자가 내용을 볼 수 없다.대칭키 암호화를 사용 Integrity데이터가 전송 도중 변조되지 않음을 확인한다.SHA256 같은 해시를 사용 Authentication서버나 클라이언트가 각각 정말 내 목표가 맞는지를 보장한다.공개키 암호.. -
[Computer Network] Domain Name System
[Computer Network] Domain Name System
2025.10.14일단 사진 쭉 보고 시작하자. Top-Level Domain은 루트 도메인 바로 아래에 위치해서 인터넷 전체 도메인 공간을 대분류로 나눈다. (.com .org .kr...)루트 서버는 TLD 서버 위치를 알려주고, TLD 서버는 Authoritative DNS Server가 어디있는지를 알려준다.Authoritative DNS Server는 실제 IP주소를 알고 있다. 여기서 Response를 반환한다. 전국에 루트 네임서버는 A-M 까지 총 14개.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찾을 때는 먼저 ISP의 DNS 캐시에 쿼리한다.미스나면 루트 네임서버로 쿼리해야 한다. 해당 IP로 패킷을 보낸다.루트 서버 IP는 실제로 전세계 여러 서버 컴퓨터들이 같은 IP를 공유하고 있고, 라우터에 따라 가장 가까운 서버로 전.. -
[Computer Network] Cookie && Cache
[Computer Network] Cookie && Cache
2025.10.14HTTP는 상태가 없는데 웹서비스는 상태가 꼭 필요하다. 그래서 쿠키를 사용함.쿠키는 HTTP의 무상태성을 보완하기 위한 상태관리 매커니즘으로 브라우저 스펙이다. 브라우저가 대신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보내는 방식으로 무상태성인 HTTP를 보완한다. 서버가 Set-Cookie 헤더로 브라우저에게 쿠키를 저장하라고 명령을 내린다.근데 그렇다고해서 브라우저는 서버가 주는 쿠키를 주는대로 족족 받아먹는건 아님. 규칙에 맞춰서 먹을 것만 먹음. 도메인/호스트, Path, Secure, HttpOnly, SameSite 등등 여러 옵션 있음. 이거 보고 비교해서 저장할 수 있는 쿠키만 저장한다. 사용자가 처음 접속할 때는 쿠키가 없으니 브라우저는 서버에 빈 상태로 요청을 보냄이후 서버는 Set-Cookie 헤더로 .. -
[Computer Network] HTTP
[Computer Network] HTTP
2025.10.14HTTP/0.9CSS JS 없이 HTML 문서 전송용으로만 설계된 버전으로 헤더 개념도 없었다.GET /index.html 한 줄짜리 명령어만 전송했고 메서드도 GET 하나 뿐.응답 역시 HTML 본문만 전송하고 응답이 끝나면 TCP 연결을 종료한다. HTTP/1.0HTML IMAGE CSS JS 등 다양한 리소스를 요청할 수 있다.HTTP/0.9는 확장이 불가능해 헤더와 MIME타입 상태코드를 추가한 버전인 1.0 버전을 도입함. 요청에는 요청 라인 + 헤더 + 본문 구조가 정립됐다.응답에는 상태 라인 + 헤더 + 본문 구조가 정립됐다. Content-Type 식별을 위해 MIME 시스템을 도입했고, 클라이언트가 받을 수 있는 타입을 명시해준다. 다만 매 요청마다 TCP연결을 새로 맺어야 했기에 페이.. -
[Computer Network] Internet Protocol Layer
[Computer Network] Internet Protocol Layer
2025.10.14응용 계층 (OSI 5/6/7)운영체제의 프로세스로 띄워지는 요소를 의미한다. 스프링으로 백엔드 서버를 구축하고 컴퓨터에 띄우면 하나의 독립된 프로세스가 되는데, 이 백엔드 서버가 응용 계층 역할을 수행한다. HTTP / SMTP / FTP 같은 프로토콜과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응용 계층에 속한다. 전송 계층 (OSI 4)TCP - HTTP/1.1, HTTP/2UDP - HTTP/3 (Chrome 브라우저) 이미 운영체제에 구현되어 있는 부분이라 직접 구현하지 않고 운영체제의 네트워크 스펙을 그대로 사용한다.포트번호를 사용한 프로세스 연결, TCP UDP를 사용한 오류제어 및 혼잡제어를 수행한다. TCP의 경우 1Gbps 에서 40명이 동시에 요청 시 대역폭을 나눠 25Mbps로 균등하게.. -
프론트엔드 아키텍처와 Feature-Sliced Design
프론트엔드 아키텍처와 Feature-Sliced Design
2025.08.31우선 아키텍처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간 성격이 좀 다르다고 생각한다. 백엔드에서 클린아키텍처를 적용할 때는 DDD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DDD 를 적용하는 방식이 조금 다를 수는 있어도, 내가 경험한 프로젝트들에서는 모두 DDD 방식을 사용했고 좀 잘 만들었다 싶은 프로젝트를 깃허브에서 찾아보면 진짜 웬만하면 다 DDD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프론트엔드에서는 화면 단위로 개발하게 되니 내가 바로 볼 수 있는 화면을 기준으로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경우가 많다. components / pages 이런식으로.. 화면을 기준으로 디렉토리를 네이밍하고 그 안에서 뻗어나가는 식인데이게 DDD랑 비슷한거 같으면서도 좀 다르다. 프로젝트 규모가 작을 때는 그냥 화면 기준으로 설계한 아키텍처를 사용해도 큰 문제가 없었는.. -
[2025 하계 모각코] 6주차 - IT 기획 및 AI 서비스
[2025 하계 모각코] 6주차 - IT 기획 및 AI 서비스
2025.08.121. 모임 시간 2025.8.11 13:00 ~ 16:00 (Zoom) 2. 진행 내용 AI 서비스를 사용한 프로토타이핑 원래는 피그마로 페이지를 하나씩 만들었는데.. 피그마가 손에 익숙하지 않다 보니 뽑아내는 화면이 이쁘지도 않고 하나 만들 때 시간을 너무 많이 쓴다. 이 부분을 간단하게 처리해주는 AI 서비스인 readdy.ai 를 사용해서 프로토타입을 뽑아봤다. 피그마로도 원하는걸 만들 수 있긴 한데, 디테일한 부분을 포함시키는건 너무 힘들다. 피그마 스킬 이슈도 있긴 한데 피그마의 신이 와도 노가다 해야하는건 똑같을듯 디자인 감각이 있어서 어느 부분을 어떻게 포인트를 줘야 디자인이 살아나는지를 제대로 알고 있거나 이전부터 피그마를 사용해서 디자인을 해 왔으면 쌓아둔 asset을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