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HTTP] 헤더 / 쿠키와 캐시
[HTTP] 헤더 / 쿠키와 캐시
2022.08.13헤더에는 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가 들어가 있다. (메세지 바디 내용, 크기, 인증, 요청 클라이언트, 서버 정보..) 표준 헤더는 수없이 많고, 임의로 헤더를 추가할 수도 있다. 헤더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실제로는 더 복잡함) 1. General 헤더 : 메세지 전체에 적용되는 정보 2. Request 헤더 : 요청 정보 3. Response 헤더 : 응답 정보 4. Representation 헤더 : 과거 엔티티 헤더에서 이름이 바뀜. 메세지 바디를 통해 표현 데이터 전달 Representation 헤더 Content-Type : 표현 데이터의 형식을 알려준다. (html, xml, json 등등.. 메세지 바디에 들어가는 내용) Content-Encoding : 표현 데이..
[HTTP] 상태코드
[HTTP] 상태코드
2022.08.12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에 대한 처리 상태를 응답 메시지에서 상태코드를 통해 알려준다. 100번대 (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고 처리중 200번대 (Successful) : 요청 정상 처리 300번대 (Redirection) : 요청이 완료되려면 추가 행동이 필요 400번대 (Client Error) : 클라이언트 오류 500번대 (Server Error) : 서버 오류 200번대 200 OK : 요청 성공을 의미함 201 Created : 요청에 성공하고 새로운 리소스가 반환됨 (POST 메서드를 사용한 경우 URI도 함께 반환) 202 Accepted : 요청이 접수됐지만 처리되진 않음 204 : No Content :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본문에 보낼 데이터가 없음. (임시저..
[HTTP] HTTP 메서드와 활용
[HTTP] HTTP 메서드와 활용
2022.08.12웹에서 HTTP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클라이언트는 주소 창에 URI를 입력해 서버에게 요청한다. 이 때 API URI는 어떻게 설계됐을까? (https://aws.amazon.com/ko/what-is/api/ API에 대한 설명은 이쪽을 참고하자.) URI는 리소스 식별에 집중해야 한다. 여기서 리소스는 웹 사이트의 회원이 있다면 그 회원 자체를 의미한다. 회원을 등록하는 작업이 있다면 회원 / 등록 으로 구분해서 생각해야 한다. 즉, 왼쪽 예시보다 오른쪽 예시가 더 괜찮게 설계됐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URI가 중복될 수 있는데, 이럴 때 HTTP 메서드를 사용한다. GET 리소스를 조회할 때 주로 사용한다. 서버에 전달하는 데이터는 쿼리를 통해 전달한다. GET 메서드를 통해 ..
[HTTP] URL / HTTP 기본
[HTTP] URL / HTTP 기본
2022.08.12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URN : Uniform Resource Name URL은 위치를, URN은 이름을 나타낸다. URL과 URI는 보통 같이 쓰이고 주소창에 URL URI를 입력해 웹페이지를 이동한다. https://hanamon.kr/%EB%84%A4%ED%8A%B8%EC%9B%8C%ED%81%AC-%EA%B8%B0%EB%B3%B8-url-uri-urn-%EC%B0%A8%EC%9D%B4%EC%A0%90/ [네트워크/기본] URI, URL 및 URN의 차이점 - 하나몬 수정 보완 중에 있습니다… 🙏 그래도 의견 있으시면 주세요. ⚡️ URI과 그 하위 개념 URL, URN 개념 이해하기 ❗️URI 이란? U..
[HTTP]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TCP, UDP, IP, DNS)
[HTTP]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TCP, UDP, IP, DNS)
2022.08.10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복잡한 인터넷 망을 통해 통신할 때 IP(Internet Protocol)가 필요하다. IP는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지정한 IP주소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정해놓은 규칙이다. 내 IP와 목적지의 IP를 전송할 데이터를 묶어 위와 같이 IP 패킷을 만든다. 만들어진 패킷을 인터넷 망에 던져놓으면, 노드들끼리 패킷의 목적지와 연관된 노드를 찾는 작업을 반복하며 패킷을 전송한다. (여기서 노드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중계하는 서버인 라우터 정도로 생각하자.)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다시 패킷을 만들어 잘 받았다고 말해준다. IP는 컴퓨터와 컴퓨터간의 통신을 명확히 구현했지만,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나는 패킷을 보내는데 상대방의 컴퓨터는 꺼져있어 받을 수 없다면? 패킷이 가는 중 어..